top of page

어디로 가세요? Where are you drawing? [1] 

 

박가희(기획자, 서울시립미술관)

 

 

공중에 흩날리는 종이 조각의 움직임, 흰 가루 위에 남겨진 발자국,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감, 프리즘을 지나 공기 중에서 산란하는 무지개빛, 벽에 붙은 수많은 메모와 계획, 대롱대롱 매달린 재료들과 그들이 만드는 흔적, 색채를 띈 말랑말랑한 점토로 빚어낸 조형, 색색의 초상 앞에 대화를 하듯 놓인 인조 바위 덩어리. 이들은 모두 이현수 작가의 작품이 만들어 내는 순간이고 흔적이며, 또 전체의 부분이다. 작가는 이를 통틀어 ‘드로잉’이라고 부른다.

 

드로잉? 물음이 잔뜩 일 수도 있다. 작가의 이런 작품들은 흔히 드로잉을 떠올릴 때 생각하는 전형적인 양태는 아닐 것이다. 보통 드로잉은 회화나 조각과 같은 본격 작품에 앞선 스케치와 같이 작품의 사전 단계나 준비 과정에서 등장하는 요소로 여겨져 왔으며, 흰 면 위에 그려진 색채 없는 선들의 모임이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형식일테다. 이런 인식과는 별개로 드로잉은 이미 1960년대에 등장한 개념미술과 함께 다양한 매체를 실험하는 과정에서 그 개념적, 매체적, 형식적 전환을 맞이했다. 동시대 미술에서 드로잉은 독립된 매체이자 확장된 개념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드로잉을 독립된 매체로 강조하거나 그 개념을 재고하고자 기획된 서구 미술의 역사 속 전시들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1] 또한 2004년에 개관한 소마미술관의 드로잉 센터는 국내에서도 일련의 유사한 변화가 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드로잉은 특정 유형을 가지는 고정적인 매체가 아닌 과정, 미완, 개념과 같은 속성을 통해 작가에 따라 재정의가 가능한 매체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동시대 미술에서 드로잉은 이질적이고도 불균질한 매체를 의미한다. 이현수 작가는 미국 유학 시절 다양한 형식과 개념의 드로잉 작품을 접하면서 불확정성을 지닌 드로잉이라는 매체의 무한한 가능성에 주목하게 되었다.[2]

드로잉 실험하기

#차원

가장 기본적인 드로잉의 속성은 면 위에 그리는 선으로서의 표현일 것이다. 그 면과 선을 달리 사고한다면, 종이라는 2차원의 면과 그 위에 표현된 선을 뛰어 넘은 다양한 매체적 실험이 가능해진다. 이현수 작가는 드로잉 작품을 ‘works on paper’라고 명명하는 데에 착안하여, 이와 같은 드로잉의 매체적 속성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작품 <바람 어디에서 부는지>(2016)를 선보이기도 했다. 작가는 마치 차양막처럼 공중에서 미끄러지듯 곡선을 그리며 매달린 흰 종이면 위에 드로잉을 한 메모지를 접어 만든 종이학을 설치했다. 열려 있는 전시장의 창문을 통해 바람이 들어오면 면 위의 종이학들이 움직인다. 관객은 전시장에 서서 면을 올려다보며, 종이학이 아닌 검은 점으로 보이는 종이학의 그림자가 바람에 따라 면 위를 유영하며 만들어내는 드로잉을 보게 된다. 한편, 이현수의 드로잉은 많은 시간 종이를 벗어나곤 한다. 같은 시기에 시도했던 작품 <CLAY MIXED WITH DRAWING> 시리즈(2016)에서는 드로잉 재료를 비롯하여 유토, 오브제 등 다채로운 재료의 선택과 이를 활용하여 실험해 본 드로잉의 흔적, 그리고 이들을 공간적으로 배열한 입체로서의 설치를 선보이며, 종이를 벗어나 면을 공간으로 확장하는 드로잉의 방법을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는 작가의 고유한 언어이자 드로잉 형식으로 자리 잡으며, <그릴 것은 너무 많은데, 하얀 종이가 너무 작아서>(2021)와 같은 작품 등으로 발전했다.

 

#감각

나아가 그는 공간의 차원을 넘어 감각적인 차원으로까지 드로잉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개인전 《PLAYING DRAWING》(2018, 탈영역우정국, 서교예술실험센터)의 일부로 탈영역 우정국 지하에 설치되었던 <반짝이는 드로잉>(2018)이 그 예이다. 어둑한 지하 공간에 피규어 거치대 위로 프리즘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프리즘 곁에 놓인 조명에서 발산하는 빛은 거치대 위에서 회전하는 프리즘에 의해 산란하고 굴절하며 벽면에 색과 선을 투사한다. 작가는 “빛은 드로잉의 재료로 적합하다. 곧게 멀리 뻗으며 다양한 색을 지녔기에 공간에 구애되지 않는 드로잉이 가능하다”[3]라고 말하며, 빛으로 드로잉 하기를 실험한다. 이때 공기 중에 산란하는 빛과 투사된 빛이 만드는 움직임은 면을 벗어나 공기를 채우며 다차원의 감각을 경험하게 한다. 그 외에도 작가는 같은 전시에서 선보였던 작품 <독무대>(2018)에서는 타 장르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적극적인 제스처로 드로잉이 만들어내는 감각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작가는 더블베이스 연주자를 초대하여 드로잉의 개념적인 특성들을 음악적 요소로 번역 혹은 전이하여 연주하기를 요청했다. 그러면서 작가는 드로잉의 속성을 “우연한 변주를 가능하게 하는 부분적 요소와 즉흥성, 동시에 고유의 독립성을 잃지 않는” 것이라고 정의한다.[4] 이와 같은 정의를 염두한 연주를 요청받은 연주자는 “음악적인 요소가 아닌 무한한 뉘앙스로 정의되는” 즉흥적이고 독립적인 하나의 온전한 곡을 연주한다. 이런 과정에서 드로잉은 면 위의 선에서 공간 속의 빛이 되기도 하고, 음악이 되기도 하며 다차원의 감각으로 확장한다. 

 

#주체

작가는 드로잉 주체에 관한 실험을 시도하며, 작가 자신이 아닌 사물, 자연물 등의 존재를 행위 주체로 다양하게 위치시킨다. <바람 어디에서 부는지>에서는 작가의 자리에 바람을, 앞선 <독무대>의 작업에서는 연주자를 세우며 그리는 주체로 위임한다. 2016년 처음 시도되었다가 2018년 개인전 때 다시 등장한 작품 <부풀린 선>에서는 중력이 그 주체가 된다. 두 버전이 조금 다른 모습으로 구현되기는 했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이렇다. 실 끝에 드로잉이 가능한 오브제를 묶어 헬륨 가스를 가득 채운 풍선을 설치한다. 이 풍선은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모양이나 실의 장력이 바뀌며 예측할 수 없는 선을 그린다. 작가의 이와 같은 시도는 결국 전형적인 드로잉의 재료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 실험을 이어가는 동시에, 그리는 행위의 주체에도 사물, 중력, 바람과 같은 요소들로 변화를 주면서 드로잉의 우연성과 불확정성을 증폭시킨다.

 

#시간

한편, <부풀린 선>은 작품의 재료들이 변해가는 양태와 움직임의 궤적이 그려낸 흔적 드로잉을 통해 ‘시간’ 역시도 드로잉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대체로 시간은 그의 작품에서 흔적의 형태로 등장한다. 예를 들면, 벽면을 따라 흐르는 페인트를 담은 퍼포먼스 작품 <보이지 않는 선>(2018)이나 무작위의 시간대에 나타나 베이비파우더를 흰색의 전시장 벽면에 문지르는 퍼포먼스 <보이지 않는 면>(2018)에서는 바닥에 떨어진 파우더와 작가의 발자국의 흔적은 과거인 동시에 현재에 존재하며, 다른 시간이 혼재하는 자리가 된다. 이렇게 작품에 부여된 일시성은 드로잉이라는 매체가 갖는 시간성을 생각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드로잉의 시간은 ‘before’와 ‘after’가 붙은 부재와 함께 비슷한 기간에 두 곳에서 진행된 전시의 형태로 구체화되기도 했다.

 

 

미완: 끝?

작업 과정 중에 적은 메모, 흘러내리는 페인트에 담긴 시간, 빛이 산란하는 순간, 즉흥 연주 등 누군가에는 미완으로 인식되는 것들이 이현수 작가에게는 완결이나 끝이라는 표현으로 담을 수 없는 지속되는 시간으로서의 드로잉일 테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작업에서 미완은 부족하거나 모자란 상태라기보다는 어느 상태로든 전환될 수 있고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된다. 미완에 대한 이런 사고는 드로잉에만 국한되지 않고, 작가 스스로가 자신의 상황을 의식하는 방식과 작업에 임하는 태도와도 이어진다. 그의 말이 담긴 출판물 『바보들의 회화』(2019)에서도 언뜻 볼 수 있지만, 2022년 SeMA 창고에서 개최된 개인전 《난 아직 시작도 안 했는데, EVERGRREN》에서 소개된 작품 <EVERGREEN>(2021)에 등장하는 분절하는 언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파스텔 케이스에 드로잉을 한 듯 선택적으로 남겨진 파스텔 조각 위에 혼잣말을 뱉어낸 것처럼 짧은 글귀들이 새겨져 있다. “난 아직 시작도 안 했는데” “넌 끝났나 봐” “끼어 있네” 같은 말들은 작가로서의 자신의 상황을 미완으로 자각하는 듯, 언뜻 자조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지만, 뒤이어 등장하는 “그림도 그려야 하는데” “재료도 생각도” “이것저것 할게 많아”라고 말하는 작가는 미완의 상태에서 매번 새로이 무언가를 생산하기 위해 고민한다. 작가에게 미완은 예상할 수 없는 가능성을 품은 시작이다.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시작점, 미완의 상황을 만드는 이러한 작가의 태도와 실천은 그의 드로잉을 이제 어떤 방향으로 끌고 갈지(where to draw) 기대하게 한다.

 

 

 

—-------

박가희

큐레이터. 현대미술이론을 전공했다.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로 일하고 있다.

 

Gahee Park

Curator. Studied contemporary art theory. Currently, she works at Seoul Museum of Art.

 

[1] 《드로잉》(1970년대 후반, 뉴욕 근대 미술관), 《드로잉 나우: 여덟 가지 제안》(2002, 뉴욕현대미술관), 《지난 백 년을 추적하기: 변화를 위한 촉매로서의 드로잉》(2012, 테이트 모던) 등. 임윤수, 2018, 「현대미술에서 드로잉의 개념 변화와 양상 연구」에서 재인용.

[2] 작가와의 인터뷰 중 (2022. 9. 11.)

[3]  《PLAYING DRAWING: after drawing》 전시 리플릿 중 작가의 말.

[4]  《PLAYING DRAWING: before drawing》 전시 리플릿 중 작가의 말. 

Where are you drawing?

 

PARK Gahee (Curator of Seoul Museum of Art)

 

 

The fluttering of pieces of paper scattering in the air, footprints left on white powder, paint dripping down the walls, light scattering into a rainbow in the air through a prism, countless pieces of notes and plans on the walls, materials hanging from the walls and their traces, sculptures of soft color clay, masses of artificial rocks placed as if they were having a conversation in front of colorful portraits: All these fragments are moments, traces, and parts of the whole, created by artist LEE Hyunsoo, who calls them his “drawings.”

 

Drawing? There may be a lot of questions. These works probably are not the typical types that come to mind when one thinks of drawing. Usually, drawing has been regarded as something that takes place in the preliminary stage or preparation process of a work, such as a sketch made prior to a full-scale work like painting or sculpture. A group of colorless lines drawn on white surface generally comes to mind. Apart from this perception, drawing has already faced a conceptual, medium, and formal shift in the process of being experimented with various materials through Conceptual Art in the 1960s. In contemporary art, drawing is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medium and an extended concept. Such changes can be found in exhibitions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organized to emphasize drawing as an independent medium or to reconsider its concept[1], and the Seoul Olympic Museum of Art Drawing Center, which opened in 2004, demonstrates that a series of similar changes are taking place in Korea. Through these changes, drawing was recognized as a medium that could be redefined by the artist through properties like process, incompletion, and concept, rather than being a fixed medium with a specific form. Therefore, in contemporary art, drawing signifies a heterogeneous and uneven medium. While studying in the U.S., LEE came across drawing works of diverse forms and concepts and started to shed light on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he indeterminate medium of drawing.[2]

 

 

Experimenting with Drawing

#Dimension

The most fundamental nature of drawing would be expression as lines drawn on a surface. If one can think of that surface and lines in different ways, it becomes possible to conduct various medium experimentations which go beyond the 2-dimensional plane of the paper and the line that’s expressed on it. Naming his drawings “works on paper,” LEE presented Where the Wind Blows (2016) as a question on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medium of drawing. The artist installed paper cranes of folded paper with drawings on them, suspended in a curve in the air like an awning. The paper cranes on the plane move when wind blows through the windows in the exhibition space. The audience stands in the exhibition space, looking up at the surface, then looking at the drawing made by the black dot-like shadows of the paper cranes moving in the breeze. On the other hand, LEE’s drawings often take off from the paper. CLAY MIXED WITH DRAWING series (2016), which the artist produced at around the same time, demonstrates traces of experimentations of drawing using various materials like clay mixed with oil and objects on top of drawing materials. The materials were shown in an installation as three-dimensional work arranged in space, reflecting the artist’s research on expanding the drawing beyond the paper to space. Such research became the artist’s unique language and form of drawing, and developed into works like Too much to draw on such small piece of paper (2021).

 

#Sensation

LEE goes on furthe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rawing beyond the dimension of space to that of the senses. This is evident in (Rainbow is Drawing (2018), shown as a part of his solo exhibition PLAYING DRAWING (Seoul Art Space Seogyo, 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2018), installed in the basement of the exhibition space. Prisms are placed on the figure stands throughout the dark basement spa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next to the prism scatters and refracts though the rotating prisms on the stands, projecting colors and lines on the walls. The artist experiments with drawing using light, saying that “Light is suitable as a material for drawing. It extends straight and has a variety of colors, making it possible for drawings that do not depend on the space they’re in.”[3] At this time, the light scattering in the air and the movement created by the projected light leave the surface and fill the air and leads the audience to a multi-sensorial experience. In addition, in Playing Drawing by Double Bass(2018) presented in the same exhibition, the artist attempted to expand the senses created by drawing through “collaborating” with artists working with other genres. The artist also invited a double bassist, asking him to perform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his drawings translated or even transformed into musical elements. In doing so, the artist defines the nature of drawing as "not losing the partial elements and improvisation which enables coincidental variations, as well as not losing its own independence."[4] The performer, who is asked to perform with such definitions in his mind, performs a complete piece that is improvised and independent, “defined not as musical elements but infinite nuance.” In this process, drawing expands to multi-dimensional senses, expanding beyond lines on flat surface to becoming music or light in space.

 

 

#Subject

The artist experiments with the drawing subject, placing objects and elements of nature as the drawing subject instead of the artist himself. In Where the Wind Blows, the wind stands in the position of the artist, and in Playing Drawing by Double Bass, the conductor. Gravity becomes the one that draws in Inflated Line, a work which was first attempted in 2016, then reattempted in his solo exhibition in 2018. Although the two versions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ir presentation, the basic form is the same in that helium-filled balloons with objects capable of drawing are tied to the ends of the strings of the balloons. The balloons draw unpredictable lines as the shapes of the balloons or the tension of the threads change over time. While the artist’s attempts continue to take off from using conventional drawing materials to experimenting with various materials, he also expands the drawing subject itself, using elements of objects, gravity and wind to amplify a sense of coincidence and uncertainty in the drawings.

 

 

#Time

Meanwhile, Inflated Line shows how “time” also becomes an element of drawing, through the trace-drawing produced through the changing state and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materials. For example, In Invisible Straight Line (2018), a performance work of paint flowing down the walls, or (The Scent is Drawing (2018) where the artist appears at unspecified times and rubs baby powder on the walls in the exhibition space, the traces of the powder and the artist’s footprints on the floor exist both in the past and present, becoming a site where different times coexist. The ephemeral aspect of the works invites the audience think about the sense of temporality in the medium of drawing. In addition, the times of these drawings materialized in the forms of exhibitions that took place in two different places at similar periods of time, with the subtitles “before” and “after.”

 

 

Incomplete: Complete?

For LEE, elements that seem incomplete to others—such as memos taken during work process, time captured in the dripping paint, the moment when light scatters, and improvised performances—may be drawing as a form of continuing time that cannot be expressed as being finished or the end. Therefore, the sense of incompleteness in his work is not something that is lacking or insufficient, but rather becomes a possibility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ny state and advance forward. Such thought on incompleteness does not only apply to the artist’s drawing, but also to the way the artist himself recognizes his situation and his attitude towards his work. This can be inferred from LEE’s words in the publication Fools (2019) but also in the segmented language in EVERGREEN (2021), introduced in his solo exhibition  EVERGREEN held at SeMA Storage in 2022. In this work, short words that are like mumbling to oneself, are engraved on the pastels that seem to be left selectively in a case that seems to be drawn on. At a glance, phrases like “I haven’t even begun yet,” “You must be done,” or “You’re stuck” seem to be self-referential and reflect the artist’s observation on his own situations. Then phrases like “I should also draw,” “Materials and thoughts,” “I have a lot to do” demonstrate that the artist is always striving to produce something new in his state of incompleteness. For the artist, incompleteness is the beginning of unpredictable possibilities. LEE’s attitude and practice, creating incomplete situations and thus starting points that are continuously renewed, makes us look forward to discovering where his drawing is headed.

 

**

PARK Gahee is a curator and studied contemporary art theory. She currently works at Seoul Museum of Art.

 

 

[1] Drawing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late 1970s), Drawing Now: Eight Propositions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New York, 2002), Tracing the Century: Drawing as a Catalyst for Change (Tate Modern, London, 2012), etc. Recited from LIM Yoon Soo. “A Study on the Aspect and Change of the Concept of Drawing in Contemporary Art,”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 Society Of Korea Illusart , vol. 21, no.1 (2018), p. 71.

[2] From interview with the artist (2022. 9. 11.)

[3]  The artist’s comment from the exhibition leaflet for PLAYING DRAWING: after drawing (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2018).

[4]  Taken from the artist’s comment from the exhibition leaflet for PLAYING DRAWING: after drawing (Seoul Art Space Seogyo, Seoul, 2018).

금리생활자를 안락사시켜야 한다

_이현수: 난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EVERGREEN

 

/ 조재연

 

 

 

누구나 그럴싸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처맞기 전까지는.

마이클 타이슨, 1987년 8월 인터뷰에서

 

1

너에 관한 모든 지혜를 얻었기에, 쌓아 올린 그 지혜로 말미암아 비로소 결별을 짓는다. 가장 아름다운 것과 가장 창피한 것을 동시에 나눈 우리는 이 다음에 무엇을 남기게 될지 이제 알고 있다. 서로의 가장 헌신적인 것과 가장 추한 것을 교환해 온 지금. 그리고 나는 네게 마땅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반대로 너는 내게 어울리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충분히 노력했던 지금. 포말은 모래 위에 새겼던 모든 낱말을 이치가 예정했던 대로 지울 것이다. 잡고 있는 것보다 놓아주는 데 더 큰마음과 지혜가 필요하다지. 실험, 경험, 증명, 검토 그리고 결론까지, 시작점에는 탄생하지 않았던 현명함은 엇갈릴 이 날을 위해 이다지도 적재되어 왔을까. 그러나 여기서 내가 떠올리는 것은 우리가 성숙해지기 전, 사랑의 시작점에서 영원을 기약했던 순간과 새 삶의 출발점에서 혁명의 꿈에 젖었던 순간이다. 원대하고 급진적인 사유는 오직 성숙이 부재한 순간에 존재하고 맒을 천천히 깨닫고 있다. 결실 맺는 사랑과 도래할 혁명은 미래에 있다지만, 어찌하여 이룩과 번성은 그것으로부터 멀어짐을 만드는 것일까. 또 출발하지도 않은 채로 다른 목적지에 도착하고 마는 것일까. 시간을 거듭할 때 생기는 지혜가 무언갈 내려놓게 만든다면 차라리 걸음을 어리석음에 향하도록 돌린다. 거칠고, 미성숙하고, 비이성적이며, 비발전된 '시작'으로 돌아가 다시 네게 무엇을 '고백'하려 한다.

인류사 이래로 가장 많은 예술을 유통하는 시대. 그 어느 시기보다 많은 전시, 음악, 공연, 서적 등이 오늘의 세계엔 펼쳐진다. 그리고 이는 비단 양적인 일만은 아니다. 매번 새롭게 출생하는 작업은 그것이 이전 담론을 어떻게 뛰어넘었고 어떻게 다른지 작가와 비평가의 입을 빌려 누설된다. 안팎으로 선고된 죽음 앞에서 매번 새 몸을 가지고 부활하는 예술은 결과적으로 지금 여기가 가장 최선임을 말하는 셈이다. 그러나 가장 성숙한 예술이 창궐하는 오늘은, 과연 가장 아름다운 세계일까. 투명하고 명료하게 진실을 드러낼 수 있다고 믿는 대신 진실 앞에서 겸허해지는 것, 세계의 전부에 대해 함구하는 대신에 차이와 부분을 모색하는 것, 부정과 비판에 손사래 치며 저어하고 행복과 사랑으로 위무하는 것. 그렇게 자애롭고 포근한 인간의 얼굴을 한 예술을 앞에 둔 우리. 그러는 동안에 영영 떠나고 잃어버린 벗. 그러는 동안에 현명해지려고 부단히 애썼던 나. 그러나 지금의 지혜를 오랜 글과 삶에 비출 때마다 떳떳하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달빛이 흡사 비 오듯 쏟아지는 밤에도 헐어진 성터를 헤메이며 가슴을 쥐어뜯었던, 처음의 약속을 다시 떠올린다. 미거한 글로, 또 뻔하거나 순진한 투정으로 남은 이야기로 지금의 예술 전부와 대질할 수 없다는 것을 어쩔 수 없이 나는 알고 있지. 그러니 비판 대신에 지난날의 약속은 어디 갔냐고 울음 짓는 연인처럼 그저 비명 지르려 한다. 비명이다.

 

2

말에서든 그림에서든 앞선 하나의 낱말, 하나의 색은 뒤에 올 복수의 낱말과 색을 예정한다. 마찬가지로 한 시대의 문학, 하나의 그림 다음에 어떤 것이 오는지 역시 수순을 따른다. '예술'이란 그것을 예술로서 보게끔 만드는 규범적 궤도 안에서 존재하기 때문이다. 진보란 것은 당연하다는 듯, 패러디와 비판의 방식이든 오마주와 계승의 방식이든 모두 한 장면의 미래를 이행한다. 대리보충은 원본을 부식시키면서도 원본(이 무엇인지)을 완성한다. 그러나 완성되어 나간다는 이 '역사'에서 이행된 것이 무엇인지, 그의 공약이 얼마나 달성되었는지는 누구도 묻지 않는다. 이제 모두가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혹은 '혁명은 어째서 오지 않니'라고 묻지 않는 것처럼. 이현수의 '시작'점은 여기에 있을 테다. ⟪난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EVERGREEN⟫은 미래가 아닌, 지난 정거장을 향해 길을 거스른다. 시작엔 누구나 과감하다지. 아그네스 마틴, 에드먼드 드 왈, 조르조 모란디, 사이 톰블리, 로니 혼 등 그는 원본을 인용하지만, 이는 '다음'의 쇄신을 위함이 아니다. 전시는 외려 원본을 습작 내지 에스키스의 형태로 돌이키고 있다. 다시 말해서 작품은 원본의 성취가 아무런 말도, 색도, 형태도, 소리도 존재하지 않았을 무지한 '시작'의 시점으로 역행한다. 정돈된 머리를 전처럼 헝클어트리고, 또렷하게 뱉도록 훈련된 말을 빼앗아 울음을 짖게 하며 그것이 처음에 무엇을 기약했는지만을 떠올리게 만든다.

⟨아그네스의 조각⟩의 시간은 아그네스 마틴이 작업의 구상을 끝내기도 전, 백 년의 시간을 훌쩍 거슬러 그것이 위태롭거나 보잘것없는 순간으로 되돌아가 있다. 기쁨, 순수, 사랑, 자유, 우정. 이 순진한 낱말은 마틴이 작업에 붙인 이름들이다. 그러나 차이나 타자, 존재 같은 것이라면 모를까 이 단어들은 이제 어떤 역량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이들은 그만큼 흔해빠지고 진부해졌다. 시작의 시점에서 이들이 과연 지루한 것이었을까. 혹은 이들이 시작되려 할 때 스스로가 과연 무료했을까. 아직 시작도 안 했을 때, 가치가 흔해질까 봐 두려운 적은 없었다. 외려 그 흔함 때문에 가치를 고백하는 데 인색해질까 두려워 떨곤 했다. 마틴의 미니멀리즘은 태그를 생략함으로써 저자를, 테크닉을 발휘하지 않음으로써 작품의 지위를, 마침내 형상을 외면함으로써 그림의 목적마저 제거해버린다. 미니멀리즘적 사유의 시작은 무엇을 뺄 수 있는지 고민하기보다, 아무리 감산하더라도 결코 제거할 수 없는 불변항을 발견하려 했을지 모른다. 그러니 마틴이 드러냈던 것은 감산의 역량이 아닌 제곱된 빼기에도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끝끝내 지워버릴 수 없었던 저 제목들 '가치'의 목록이다. 어떤 사유, 서사를 발명하더라도 우리는 결국 기쁨, 순수, 사랑, 자유, 우정이라는 순진한 결론으로 회귀할 것이다. 돌이켜보면 어떤 기발한 발상이나 이야기도 결론에 이르러서는 고작 저 가치들로 그치지 않았나.

그러나 오늘날 창궐하는 스펙터클 앞에서 미니멀리즘은, 그것이 재현이 아니라 경험과 공간을 창조하려 했다는 세간의 평가로 쉽게 만족하고 싶다. 혹은 감산으로 남은 것이 아니라 감산에 의해 떨어져 간 것들을 헤아리고, 총량을 재며 '이렇게나 많이 덜어낼 수 있었다'며 스스로를 위로하려 한다. 그러나 그것은 시작과는 다른 모습이다. 미니멀리즘 그리고 아그네스 마틴을 처음으로 돌이키기 위해선 이미 감산으로 앙상한 곳에서 다시 한번 감산을 제곱해야만 한다. 그때 비로소 가치는 더욱 순수한 응결물로서 모습을 드러내 떨어져 나간 것이 아니라, 떨어지고도 남은 것을 보게 할 것이다. 그로써 우리는 미니멀리즘이 시작의 시점에 무엇을 기약했는지 기억해내게 된다. ⟨아그네스의 조각⟩은 마틴의 작업을 밑그림 내지 에스키스의 형태가 될 때까지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 마틴이 끝끝내 감산하지 않았던 것은 색과 형상. 그러나 이현수는 그것마저 그려지지 않았던 처음으로 돌아가려 한다. 그로써 시간은 색마저 남지 않은 가장 큰 감산으로 돌아간 순간을 향해, 또 캔버스에 접근하지 못한 채 옹벽의 흔적으로 새긴 허무한 순간을 향해갔다. 샤프로 남긴 형상 또한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리라. 그러나 이번에도 가치만은 줄지 않는다. 이것으로 우리는 또다시 가치가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아무리 발버둥을 쳐봐라. 이들은 영원히 시작되지 않아 영원히 지속된다.

장식에 적합하지 않은 울퉁불퉁한 표면, 입과 손을 대기엔 거친 마감, 무언가를 보관하기엔 물렁한 유토의 물성. 〈에드먼드에게 물레가 없었다면〉은 도예가 상품으로서 드러내야 할 그 어떤 것도 승낙하지 않는다. 여기에 보이는 것은 작가의 엉성한 손과 서툰 솜씨, 그래서 부단히 움직여야 했던 시간, 보잘것없는 재료다. 무슨 수를 쓰든 상품이 되지 못할 이 도자가 얻을 수 있는 유일한 호칭은 '예술'뿐이다. 그러나 작품을 외면할 길이 없다. 작자의 이름, 창작의 과정, 재료의 물성. 이 셋은 예술의 전부 아니었던가. 20세기 아방가르드가 외쳤던 '예술과 삶의 일치'라는 구호를 시작부터 실현하고 있었던 것은 공예였다. 도자는 삶의 가장 가까이에서 생이 거주할 공간을 보호하는 벽으로서 미술관이 아닌 일상에서 교환의 논리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밤을 지켰다. 장인의 미거하고 비천한 손으로 흙과 불의 괴로움을 견뎌낸 작품은 값을 치르며 교환되는 순간에도 공간의 한편을 장식하기를 거부하고 그들의 삶에 통합되도록, 그 삶의 표현에 동반하도록 스스로를 요구했다. 설령 장식장 한편에서 관음적으로 대우되더라도 거기서 빛을 발하고 있던 것은 비인격적이고 평등한 삶이지 계급의 표식은 아니었다. 도자는 장인이 길에서 주워 모은 보잘것없는 흙과 돌이 섞여 있고, 고귀한 삶에는 개입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진 하등한 정서로 빚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고귀함의 예외들은 그것이 거주할 고귀한 삶을 구성함으로써 평등해졌다.

도자를 소유한 사람의 기품을 구성하는 것이 미거한 장인의 손과 지난한 과정 또 비천한 재료라는 점에서, 그러니까 고귀함의 구성물이 고귀함의 반대편에 있다는 점에서 상반된 두 가치는 구분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량 생산과 기계 공정 앞에서 이름, 과정, 물성은 모조리 제거된다. 이름? 그것은 이제 한 사람의 호칭이 아니라 팩토리의 브랜드가 아닌가. 과정? 그것은 장인의 손을 숨기기 위한 공정이 아닌가. 물성? 여기에 흙과 돌이 남아있어 보이기는 한가. 그렇다면 〈에드먼드에게 물레가 없었다면〉이 공예를 되감을 때 시작점에 회귀하는 것 역시 이름, 과정, 물성일 것이다. 작업의 울퉁불퉁한 표면은 계획을 온전히 실행하기에 부족하고, 지시를 서둘러 이행하는 데 뒤죽박죽이 된 손의 '과정'을 돌려놓는다. 장식적인 도자가 되기엔 한참이 부족한 재료를 확인시키는 물렁함은 작품의 '물성'을 되돌린다. 그리고 과정 및 물성에 결부된 비정밀과 조잡함은, 오직 그것이 '이름'을 잃어버리지 않을 작가의 생산물이라는 표식을 새기고 만다. 에드먼드 드 왈의 도자는 손으로는 형성될 수 없는 완벽한 곡선을 지니고 있다. 그의 도자는 거주 공간이 아닌 장식장과 결합함으로써만 완성됐다. 그의 매끈한 표면은 물질을 숨긴다. 그러나 이현수가 되돌린 물레가 없었던 시점. 사라진 모든 것은 회귀한다. 〈에드먼드에게 물레가 없었다면〉은 도무지 장식장에 들어갈 만한 것이 못 된다. 이 도자는 거주 공간에 아무렇게나 방치되어, 예술과 삶의 통합이란 오래된 약속에 다시 귀를 기울인다.

“인간의 눈으로 보는 것 이상으로 추상적이고 초현실적인 것은 없다. 물론 물질은 존재하나 자체의 고유한 의미는 없다. 우리는 오직 컵은 컵이며 나무는 나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조르지오 모란디가 자신의 작품군 ⟨Still Life⟩를 두고 한 말이다. 그에게 정물화(Still Life)는 "시간을 초월하는 법"이었다. 유리, 사기, 금속 각기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대상들은 적어도 그의 그림 안에서 균일한 텍스처를 내보인다. 모든 것은 평평해져 있고, 여기엔 시간도 육신도 모두 사라진 것처럼 그림자조차 없다. 구체적인 사물들은 모두 추상적 개념으로 전환됨으로써 조르지오 모란디의 그림은 사물의 구체적인 낯과 상황을 넘어 추상적 본질을 모색한다. 따라서 '컵은 컵' 그리고 '나무는 나무'라는 단언은 어떤 맥락에도 불구하고 변화하지 않는 본질을 가리키는 의미로 읽힌다. 그러나 어쩐지 이현수의 ⟨모란디 파르페⟩는 사라져버린 구체적인 맥락이 모두 회귀해 있다. 쉽게 부서질 파스텔, 결국 굳은 채로 금이 갈 유채, 언젠가 흘러내릴 유토 등은 모두 상황과 시간을 초월하는 것보다는, 온 세월을 받아들이려는 것처럼 보인다. 파르페는 언젠가 녹아 없어질 고작 일시적인 고체의 이름. 이 고체와 만났을 때 모란디의 그림은 다르게 보이기 시작한다. 거기엔 사물과 그 사물이 놓인 세계의 영원함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외려 모란디는 세계의 영원함을 말한 것이 아니라, 영원 앞에 놓인 세계를 말한 것이라고 돌이켜진 과거는 말하려 한다.

영원한 세계는 향긋한 말일지 모르나 어딘가 섬뜩한 데가 있다. 그 세계가 지옥이라면? 아니 그 세계가 지금 여기라면? 우리는 이 영원함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사실 세계는 이미 영원한 것으로 간주된다. 수없이 반복되는 비극과 비애에도 바뀌지 않은 세계를 목도한 바 있다. 현재가 과거를 극복한 것이라면, 1991년 이후 시간엔 과거란 없는 편에 가깝다. 또한 미래가 지금을 부정함으로써 가능해진다면, —우리에겐 수정만 있었을 뿐— 부정이 시도된 적은 없으니 미래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시간없음으로부터 우리는 세계에 환멸과 무기력을 동시에 느낀다. 극복과 부정의 역량을 지닌 주체는 사라지고 말았다. 반대로 주체를 되살리기 위해선 세계를 영원에 결부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원과 세계를 대조시켜야만 한다. 이현수의 작업은 원본의 시간을 되감는 것이다. ⟨모란디 파르페⟩와 ⟨Still Life⟩(1931)는 시간대가 다른, 같은 그림이다. 그렇다면 ⟨Still Life⟩는 영원한 사물이 아니라 ⟨모란디 파르페⟩에 가해진 영원의 시간 앞에서(이후에) 희미해진 것이 된다. ⟨모란디 파르페⟩의 다채로운 색과 각기 다른 재질은 영원과 대조될 때 시나브로 깎이어 ⟨Still Life⟩의 무채색과 균질한 평면을 갖게 될 것이다. 단단한 산맥도 시간 앞에선 물렁하다. 그것을 확인할 때 존재는 비로소 과거, 현재, 미래를 경험하며 세계를 변혁하는 주체로 형성된다. 주체가 약속하는 '영원'이란 그런 법이다. '컵은 컵', '나무는 나무' 이 두 존재 모두 다 사라져가는 것들 아닌가.

캔버스에 그린 그림이 드러내는 것이 예술가의 자율성이라면, 벽에 그린 낙서에서 그와 같은 것을 찾을 수는 없을 테다. ⟨Cy가 키우던 비둘기⟩에 예술가는 부재한다. 이는 비둘기가 펜을 물고 있어서는 아니다. 작품이 예술가 대신 비둘기의 자율성을 드러내는 것 역시 아니라는 점에서, 비둘기는 예술가가 다른 것으로 대치된 상황을 나타내지 않는다. 비둘기는 작가의 부재를 상징할 뿐이다. 이때 존립하는 것은 오직 명령과 주문에 어긋나지 않고 그저 복종하는 것처럼 보였던 사물의 ‘자율성’이다. 주어진 홈을 따라 흐르거나 중력에 따라 기우는 것은 '삶'이라 부를 수 없다. 이미 예술사 안에서 수없이 그어진 길을 저어하고 탈주를 감행하고 나서야 예술의 지위가 부여되듯, 주어진 홈에 다른 구멍을 내어 새로운 길을 만들고서야, 그리고 중력에 의해 무너지지 않고 무게를 지탱하며 걸음을 옮기고 나서야 '삶'은 발생한다. 사물은 그것을 존재하게 만든 명령과 주문을 올곧이 따르는 한에선 삶을 내재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곳에는 정해진 목적과 규격만이 있다. 우리는 무슨 수를 쓰든 저 벽에 '벽' 이상의 자유가 있다고 보지 못할 것이다. 그들은 그때까지 명령과 주문에 싸우지 않았으니까. 그러나 벽에 기입된 의미를 알 수 없는 표식들은 그 부재에 의구심을 만든다. 저 수많은 원이 예술의 산물이라면, 그 옆에 얼룩은, 상처는, 나아가 벽 전체의 모양은 예술(자유)의 산물이 아니고 대체 무엇인가.

사이 톰블리의 작업은 캔버스 안이 아니라 캔버스 밖을 향해 펼쳐져 있다. 어린아이도 그릴 수 있을 것 같은 작가의 낙서는 캔버스를 투과해 야외의 미숙함과 교류한다. 수많은 원의 기입은 톰블리의 낙서와 같은 시내 곳곳의 무늬를, 사물을 바라보는 무정한 시선이 아니라 예술을 바라보는 의욕적인 시선으로 바꾸어 놓는다. 다시 말해서 낙서는 스스로를 예술화하는 대신 낙서의 주변에서 예술'적'인 것을 생산해낸다. '모든 것은 예술'이라는 공허한 메아리를 부르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명령과 주문으로 가득한 세계에 그것에서 저항하고 삶을 추구하는 것이 존재함을 기억하려 한다. 이미 처음부터 예술가는 예술이 아닌 모든 것—즉 예술적인 것—을 예술로 만드는 책무를 지니지 않았던가. 이현수가 환기하는 것은 이 최초의 책무다. 〈에드먼드에게 물레가 없었다면〉이 미숙한 손과 보잘것없는 재료로 예술의 지위를 돌이켜냈듯, 톰블리의 작업은 사물 내부에도 노동자의 비숙련, 비훈육의 산물, 즉 주문과 명령에 따르지 않는 자유의 존재를 입증함으로써 예술'적'인 것의 돌아옴을 만들어낸다. 이윽고 사물의 세계에도 자유가 발견된다. 반복되는 원의 궤적은 톰블리의 캔버스에서 완결되지만, 벽에서는 끝나지 않는다. 톰블리보다 더 많은 원을 그리고도 새의 부리가 연필을 놓지 않는 것은 그런 까닭일 테다. 선분은 하나의 원과 다른 원을 이음으로써 동시에 삶이 끊어진 자리를 잇는다. 이를 위해 톰블리의 작업은 마땅한 시작점인 벽으로 돌아가 있다.

'그림'이라는 낱말의 출처가 '그리움'과 같다는 말은 낭설에 불과하지만, 그래도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삶의 어떤 특정한 장면이 더는 존재하지 않을 것 같다고 느낄 때 기억을 대신하고자 그림과 사진은 남겨진다. 지금 이 순간이 기억할만한 가치가 있다는 기쁨과 함께, 이 장면이 사라져간다는 곤란함이 기록엔 들어 있다. 기록은 존재 증명인 동시에 다시 그것과 만날 수 없다는 부재 증명이다. 그러니 로니 혼의 근심을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이 여행한다’는 개념보다 ‘동물이 이주’한다는 개념으로 이 땅에 대한 나의 그리움을 표현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 아이슬란드에서 경험한 빙하를 재현한 ⟨Water Double⟩(2013~15)엔 마음을 저릿하게 만들었던 기쁨과 함께 다시 그곳으로 가더라도 같은 감상을 받을 수 없을 것이란 설움이 섞여 있다. 그리고 단순하게는 아이슬란드에 대한 그리움일 이 작품은, 더 짙게는 작가의 부재에 대한 절망과 함께 비춰진다. 작가는 한 작품을 내보임으로써 자신을 작가로 만들어줄 하나의 생각을 다시 쓸 수 없도록 소진한다. 어떤 것을 작품화하면 또다시 작품의 대상이 될 무언가가 다시는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 작가는 신분을 증명해줄 소득증명서도 명함도 지니지 않는다. 전시가 끝나고 새로운 작업이 발표되기 전까지 남아 있는 것은 과거(작가였음)의 증명뿐이다. 작가는 늘 자신의 작업을 발표함으로써 스스로를 제거한다. 새로운 작품은 그렇게 늘 사라질 각오로서, 마지막 작품으로서 등장하는 법이다.

그리고 한 작가에게 새로운 작품이 마지막 작품으로서 등장한다면, 새로운 예술은 예술이 종말된 폐허에서 등장할 것이다. 예술의 창궐 만큼이나 숱하게 예술의 종언이 선언되는 것은 그런 까닭을 지니고 있다. 지금의 시간 이후에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 이는 시간상으로는 가장 마지막에 있을 테지만, 수순적으로는 가장 처음의 위치에 놓인다. 이현수가 로니 혼의 시간을 되감으면서 맞닥뜨려야 했던 근심은 그런 것일 테다. ⟨Water Double⟩이 경험, 영감에 대한 박제로서 부재 증명을 이룬다면, ⟨다이소에 다녀온 로니⟩는 예술 자체에 대한 박제로서 부재 증명을 이룬다. 다시 말해서 ⟨다이소에 다녀온 로니⟩에는 '예술' 자체가 다시는 없을지도 모른다는 비참함이 앞당겨져 있다. 로니 혼이 투명한 유리 안에 경험과 영감을 꼭꼭 보존해 놓았다면, 이현수는 테이프 안에 이제는 없을 예술을 칭칭 보존해 놓았다. 누군가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지 않더라도 이미 충분히 사랑받아왔고 앞으로도 사랑받을 작품이 이미 존재한다. 새로운 시도가 무의미해질 정도로 새로운 주제는 등장하지 않으며, 오로지 같은 주제만이 새롭게 반복된다. 그렇다면 이제까지의 모든 종언은 옳다. 그러나 그 결과 작품은 역설적이게도 영점(零點)에 닿는다. 새로운 건물이 지어질 공터와 모든 것이 무너진 폐허는 양쪽 모두 비어있다는 점에서 구분되지 않는다. 그곳은 천지창조가 시작되는 시점, 말하자면 아직 공간도, 시간도 없었던 시점이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모든 장소와 시간을 함축하는 시점이다. 이 공허함을 마다하지 않을 준비만 되어 있다면 폐허는 그로부터 모든 형태와 색채들이 탄생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3

해변을 거닐며 바라보는 바다와, 바다 한가운데를 떠돌며 바라보는 바다는 전혀 다르다. 아무도 수심을 일러준 적이 없기에 흰 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았다. 청 무우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었을 때, 바다를 알게 된 나비는 더는 바다를 향해 가지 않게 될 것이다. 꽃은 바다에 피어나지 않게 되고, 바다가 나비의 날개엔 가혹하다는 것을 알게 된 현명함은 이제 바다의 꿈을 기꺼이 저버리게 만든다. 현명한 이들이 '젊은 날 혁명을 꿈꾸지 않은 자는 가슴 없는 자이나, 이때를 지나도 바뀌지 않으면 머리가 빈 자'라 한 이야기가 오랫동안 이곳을 떠나지 않는다. 어째서 현명함은 가장 급진적인 것부터 앗아가는 것일까. 어찌하여 현명함은 해야 할 것보다 하지 말아야 할 것부터 늘려가는 것일까. 어쩔 수 없이 나는 조금 현명해졌으니 마르크스 대신 케인스를 펼쳐 든다. 그러나 그의 시작에도 역시 "금리생활자를 안락사시켜야 한다"라고 적혀 있다. 한참을 떠밀려간 자리의 시작에도 과단이 들어가 있다면 더 이상 속지 않겠다. 영원한 사랑과 혁명은 미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제 있던 것이니 나는 이미 그것을 갖고 있는 채(체) 할 수 있다. 그러니 기다리지 않고 시작하려 한다. '너무나 많은 자유가 있다'라고 주장하는 형식의 혼잣말에 대항하려 한다. 과격을 버릇처럼 굴겠다. 경멸을 일삼겠다. 폭력을 두려워하지 않겠다. 다시 조그맣게 중얼거린다. 역시 금리생활자를 안락사시켜야 한다.

야, 내가 많이 변했냐. 이것은 늘 가슴 속에 맴도는 말이지만, 도무지 물을 수 없는 말이었다. 그리고 내 비겁과 작음은 새삼스럽지 않은 일. 타인의 긴 비극보다 내 짧은 고통에 신음을 내었던, 늘 어느샌가 도망갈 궁리만 하고 있던, 절박한 고백보다 불편한 자리에 온통 신경을 쏟았던 내가 어느 즈음에 '이제 그만두어야지'라는 말을 했을 때 당신은 물었다. 네가 운동을 시작한 적이 있느냐고. 그렇다면 운동을 무엇으로 알고 있느냐고. 늘 완결로 치달아 가는 삶에서, ⟪난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EVERGREEN⟫은 시간이 쌓아놓은 현명함과 성취들엔 아랑곳하지 않고 모든 것을 시작으로 되돌려 놓는다. 전시를 통해 우리는 어디로든 가고 무엇이든 되고 어떤 것도 말할 수 있는 존재임을 계시해야 하는 용기를 요구받는다. 이현수는 한성우와 쓴 서간집에서 다음과 같이 쓴 적 있다. "우리 대화도 우리 그림처럼 미완성인채로 마무리를 하자. (…) 쓰다가 지워진 나의 드로잉처럼 완성이 되지 않은 상태, 너의 그림처럼 덮이고 덮여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은 상태로 일단 한 꼭지를 끝내놓고 나중에 시간이 좀 더지나서 그때다시 대화를 이어가면 정말 재밌겠다." 지워지고, 명확하지 않은 상태로 있다면, 우리는 치달은 것과 쌓아 올린 것을 잃어버릴 염려보다는, 아직 시작조차 하지 않아 꿈은 거기에 그대로 있다는 기쁨에 기꺼이 젖을 수 있게 된다. 나의 시작이 바닷게처럼 내 삶을 뜯어먹을지라도, 해변으로 나가는 어두운 날의 기쁨을 누리려 한다. 친구야, 맹세하건대, 어떻게든 하얗게 되리.

 

참조

김기림, 「바다와 나비」, 『女性』, 1939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칠 조심」, 『땅 위의 돌들 』, 정우사, 1996

신석정, 「꽃 덤풀」, 『신석정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이성복,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 문학동네, 2014

이현수, 한성우, 『바보들의 회화』, 페도라프레스, 2019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숭고와 아방가르드」, 『지식인의 종언』, 문예출판사, 1993

자크 랑시에르, 박기순 옮김, 『아이스테시스』, 2019

진은영, 『문학의 아토포스』, 그린비, 2014

Euthanasia of Rentiers

_Lee Hyunsoo:  EVERGREEN

 

/ Cho Jaeyeon

 

 

 

“Everybody has a plan until they get punched in the face.”

Mike Tyson, from an interview in August, 1987

 

1

I’ve gained all the knowledge about you, and because of this accumulation of knowledge, I’m finally bidding farewell. Having shared simultaneously the most beautiful and the most embarrassing, we now know what we’ll leave behind, now after having exchanged what we’re most devoted to and what’s most ugly in each other. Now, after I’ve made sufficient efforts to become a person just right enough for you, and you, right enough for me. The foam will erase all words carved on the sand, as anticipated by reason. They say it takes more heart and wisdom to let go than to hold on. Has the wisdom, not born at the starting point, been loaded to this extent, from experiment, experience, proof, and review, for this day to be mistaken? But what I’m thinking of here, is the moment before we matured, the moment we promised eternity at the beginning of love, and when we were immersed in the dream of a revolution at the start of a new life. I’m slowly realizing that grand and radical reason ends up existing only in the absence of maturity. They say love that will come to fruition and revolution to come rest in the future, but why is it that accomplishment and prosperity makes us distant from it? Or perhaps arrive at a nother destination without having departed? If the wisdom that comes from repetition of time makes you put something down, perhaps it’s better to turn your steps toward stupidity. I’m going to return to the rough, immature, irrational and undeveloped “start” and “confess” something to you again.

It’s an era where the most art since human history is being distributed. More exhibitions, music, performances, and books fill the world today than ever before. And it's not just in terms of quantity. Every time a new work is given birth to this world, it becomes disclosed in the world through the mouths of the artist and critics, as to how it transcends the previous discourses and how it’s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art that resurrects in a new body every time in the face of death sentenced inside and out, is basically indicating that right now and right here is the best. But is the present day, brimming with the most mature art forms, really the most beautiful world? Becoming modest in the face of truth rather than believing that the truth can be clearly and transparently revealed. Exploring differences and parts rather than keeping silent about the world in entirety. Waving one’s hand and being fearful of denial and criticism and consoling with happiness and love. We face such affectionate art with the compassionate face of humanity. In the meantime, we lost a friend who left forever. Meanwhile, I ceaselessly strove to become wise. But why can't I feel proud whenever I reflect my wisdom now on the long text and life? I recall the first promise when I tore out my heart, roaming lost in the torn ruins of a castle, on a night when moonlight poured as if it were rain. I inevitably know that I can't confront all of today's art with petty writing, or the remaining words, in obvious or naïve complaining. So instead of criticism, I will just try to scream like a lover asking what had happened to the promise made in the past. Hear my scream.

 

2

Whether in a word or a picture, the one preceding word or color preestablishes the multiple words and colors that will follow. In the same way, what comes after the literature and art of an age follows an order, because “art” exists within a normative trajectory from where it can be read as art. As if it were a matter of fact, progress executes one scene whether it’s through the means of parody and criticism, or of homage and succession. The acting substitute completes (what is) the original although it erodes the original. However, no one asks what has been implemented in this “history” that is said to be in the progress of completion, or how close it is to achieving the promise, just as no one asks questions like “how can love change?” or “why isn’t the revolution here yet?” anymore. This is probably where Lee Hyunsoo’s “starting” point lies. EVERGREEN directs opposite the future, towards the last station passed by. They say everyone is full of boldness at start. He appropriates the original like the works by Agnes Martin, Edmund de Waal, Giorgio Morandi, Cy Twombly and Roni Horn, but this is not for his “next” step of reinvention. The exhibition actually turns the original back to its form of rough draft or sketch. In other words, the work runs in counter direction, to the “starting” point where the accomplishment of the original would not have existed in any words, colors, forms or sounds. Disheveling neatly parted hair before it was neat, and crying out rather than clearly articulating as taught, his works remind us of what they promised in the beginning.

The time in Agnes’ Sculpture goes back 100 years even before Agnes Martin finished conceptualizing her work, to a moment when it was critical or insignificant. Joy, purity, love, freedom, friendship: These naïve words are titles that Martin affixed to her works. But these words don’t seem to hold any capacity now, unless they were words like difference, other, or existence. That’s how common and cliché they have become. Were they in fact boring at the beginning point of time? Or were they actually free when they were about to start? There’s never been the fear that their value would become too common when they haven’t even begun yet. Rather, I trembled in the fear that I would become stingy in confessing their value because of such commonness. Martin's minimalism eliminates the artist by omitting tags, the status of the work by not using techniques, and finally the purpose of the painting by turning a blind eye to the form. The beginning of minimalistic thought might have tried to discover an invariability that can never be removed no matter how much it’s reduced, rather than contemplating what can be eliminated. Thus, what Martin revealed was not the ability to reduce, but a list of the "value" of those titles that can never disappear or be eliminated even if it’s subtracted by its multiples. Regardless of what reason or narrative is invented, we’ll ultimately return to naïve conclusions of joy, purity, love, freedom and friendship. Looking back, after all, all brilliant ideas and narratives ultimately ended up summarizing such values.

But I wish to take easy satisfaction in the public assessment that minimalism, in the bustling spectacles of today, attempted to create experience and space rather than reproduce. Or perhaps comfort myself, saying that it could count not what is remaining after reduction but fathom what has been eliminated through reduction, looking at the total quantity and remarking “how much could be removed.” But this is different from how it was in the beginning. In order to return to minimalism and Agnes to the beginning, the reduced bare form must be multiplied to reduction once again. Only then will the value emerge as a pure condensation, becoming manifest not as what has been eliminated but as what remains after the elimination. That way, we begin to remember what minimalism pledged at the time of its beginning. Agnes’ Sculpture traces back in time until Martin’s work turns into a form of a sketch. Martin didn’t reduce color and form until the end. But Lee tries to return to the beginning, a point in time when even the sketch was not drawn. Time headed to a moment of the biggest reduction devoid of even color, towards a futile moment where he couldn’t even approach the canvas but leave a mere trace on the wall. The markings left by the mechanical pencil will disappear also with the passing of time. But this time again, it’s not only the value that is reduced. And by this, we realize once again what the values are. It doesn’t matter how much one struggles and squirms. They are endless, because they never started.

With bumpy surface unsuitable for decorative work, a finishing that’s too coarse for lips and hands, and characteristics of clay that’s too soft and lumpy to contain anything, If Edmund didn’t have a spinning wheel does not permit anything that a work of pottery must demonstrate as a product. What’s evident in this work is the artist’s sloppy hands and poor skills, the time he had to pour into the work because of his sloppiness, and the poor quality of material. “Art” is the only identification that this pottery work is given, as it can never be used as a product. But there’s no way we can look away from the work. After all, the artist’s name, process of creation and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are all there is to art. It was craft that implemented, from the onset, the slogan “Art as life”, claimed by the 20th century avant-garde. The pottery work kept up the night, making sure that the logic of exchange in everyday life and not in the art museum as a wall that protects the space where life resides and is closest to life is not disturbed. The work, which endured the agony of soil and fire and the artist’s indiscreet shabby hands, refused to adorn a part of the space even in the moment of monetary value exchange, and demanded of itself that it integrates with their life and accompanies the expressions of their life. Even if they were treated voyeuristically on one side of the display, they would radiate a sign of impersonal and equal life, as opposed to class. The pottery is made up of worthless soil and pebbles collected from the ground by its master, and is crafted with an inferior sensibility known to be inaccessible to noble life. But the exceptions to this nobleness became equal by forming a noble life in which they will reside.

The humble hands of the artisan, the challenging process and the lowly material compose the elegance of the owner of the pottery. The two contradictory values, one being the components of nobility and the other on the opposite side of nobility, are not differentiated. But in the face of mass production and machine manufacturing, the name, process and material property are all eliminated. The name is no longer that of an individual but the brand name of a factory. The process becomes one intended to conceal the hands of the artisan. And as for material; does it even look like there is soil and stones in it? If so, If Edmund didn’t have a spinning wheel were to retrace the craft practice, it would ultimately be the name, process and material that lies at the starting point. The bumpy surface of the work turns around the “process” of the sloppy hands, which couldn’t fully implement the work as planned in a hurry. The sense of flabbiness of the work, demonstrating the insufficiency of the material for it to become a piece of ornamental pottery, reverses the “material property” of the work. And the imprecision and coarseness related to the process and materiality of the work only bears the mark that it’s the product of the artist whose “name” will not be lost. The artist Edmund de Waal's ceramics have perfect curves that cannot be formed by hands. His works become complete only in a display cabinet, not in a residential space. The smooth surface hides the sense of material of his work. However, in the time of no throwing wheels as Lee refers to in the title of the work, everything that vanished is returned. If Edmund didn't have a spinning wheel can never be something that fits in a chest of ornaments and decorative pieces. The best place for this work is somewhere in the residential space, just scattered around as if neglected, murmuring of the old promise of the union of art and life.

Giorgio Morandi once said about his still life series, "I believe that nothing can be more abstract, more unreal, than what we actually see. We know that all we can see of the objective world never really exists as we see it and understand it. Matter exists of course, but has no intrinsic meaning, such as those we attach to it. Only we know that a cup is a cup, that a tree is a tree." For Morandi, still life is “a way of transcending time”. The objec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glass, porcelain, and metal, exhibit a uniform texture at least in his paintings. Everything is flat, and there are no shadows here, as if time, flesh and blood have all disappeared. Morandi's paintings seek abstract essence beyond specific forms and situations, as specific objects turn to abstract concepts. Therefore, the affirmation that a 'cup is a cup' and 'tree is a tree' signifies the essence that does not change in any context. For some reason, however, Lee’s Morandi Sundae seems to have revived all of these specific details that are disappeared. The pastels that will break easily, the oil paint that will eventually dry and crack, and clay that will melt down in the end, seem to accept time in its entirety rather than transcend situation and time. Sundae is just a term referring to a temporary state of solid which will someday melt and disappear. When Morandi’s painting meets this solid, it starts to look different. There is no such thing as the eternity of objects and the world in which they are placed. Rather, the reverted past tries to claim that Morandi did not speak of the eternity of the world, but the world in face of eternity.

The idea of an eternal world may be sweet but there is something creepy about it. What if that world is hell? Or this world we live in right here and now? Would we be able to accept this eternity? In fact, the world is already considered to be something eternal. We have witnessed a world that does not change, despite the countlessly repeated tragedies and sorrows. If present is an outcome of having overcome the past, one could say that there is no element of past in time since 1991. And if the future becomes a possibility by denying the present, the future would not exist because we have not attempted to reject it but only modify it. We feel both disillusionment and helplessness towards the world due to lack of time. The subject with the ability to overcome and deny has vanished. On the contrary, in order to revive the subject, we must juxtapose eternity and the world, instead of relating the world to eternity. Lee’s work is about rewinding the time of the original. Morandi Sundae and Morandi’s Still Life (1931) are the same paintings with different time zones. If so, Still Life becomes something that faded (post-) facing the eternal time applied to Morandi Sundae, rather than being eternal objects. The brilliant colors and different materials of Morandi Sundae will be diminished little by little when juxtaposed with eternity, coming to have the achromatic colors and homogenous plane of Still Life. Even solid mountains become soft when faced with time. And confirmation of that, the existence finally becomes a subject that transforms the world by experienc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at is the law of “eternity” that the subject promises. A cup is a cup and a tree is a tree: after all, these two are existences that disappear.

While the artist’s autonomy is something that lies in the image drawn on the canvas, then that would be something that cannot be found in doodling on the wall. The artist is absent in The Pigeon that Cy Raised, and this isn’t because the pigeon has a pen in its beaks. The pigeon does not represent a situation in which the artist is replaced by something else, in that the work does not reveal the autonomy of the pigeon over that of the artist. The pigeon is just a symbol of the artist’s absence. What exists here is only the “autonomy” of objects that seem to simply obey without going against orders and demands. We can’t say that what flows along a given groove or leans according to gravity is called 'life'. Just as something is given the status of art only when it has feared and broken loose from the countless paths drawn in art history, "life" occurs only after making other openings in the given grooves to create a new path, and propping the weight and walking away without being crushed by gravity. Objects do not appear to be immanent with life as long as they follow the orders and commands that made them exist. There is only a fixed purpose and standard. We will never be able to see on the wall, the freedom beyond that “wall,” no matter what, because they never fought with the commands and orders until that point. However, the marks on the walls of which their significance is unknown, create doubts about the absence. If all those circles are the product of art, what would that stain, or the scar beside it, or the entire wall for that matter, be if it weren’t the product of art (freedom)?

Cy Twombly's work stretches out of the canvas and not inside. The artist's child-like doodling penetrates the canvas and interacts with immaturity of outside. The insertion of countless circles like Twombly’s doodling transforms the patterns throughout the city, from a passionate perspective on art rather than a heartless perspective on objects. In other words, doodling produces something that is art“istic” from the surrounding, rather than making itself into art. I’m not trying to make an empty echo of the “Everything is art!” idea, but I am trying to remember that in the world that’s full of orders and commands, there is something that defies it and pursues life. After all, isn’t it the artist’s responsibility in the first place to make everything that’s not art—that is, artistic—into art? It is this first responsibility that Lee is trying to remind his audience. Just as If Edmund didn’t have a Spinning Wheel recalled the status of art with unskilled hands and insignificant material, Twombly's work signals the return to what is art“istic”, through the lack of skill of the laborer and outcome of non-discipline within the object itself, or precisely by proving the presence of freedom that doesn’t follow commands and orders. In time, freedom is found in the world of things. The recurring circle's trajectory is completed on Twombly's canvas, but does not end on the wall. That's probably why the bird's beak doesn't let go of the pencil even though it has drawn more circles than Twombly has. The segment is connected from one circle to another, continuing on life where it has been severed. For this, Twombly’s work is returned to the wall, an appropriate starting point.

It may be a groundless rumor that the word Geurim (Korean word for picture) has the same origin as the word Geurium (Korean word for longing), but nonetheless, this has some significance. Pictures and photographs are left to replace memories when it feels as though certain scenes of life no longer seem to exist. The record contains the joy that this moment is worth remembering, and the difficult emotion that this scene is disappearing. A record is a proof of presence as well as absence in that what is recorded cannot be revived. In that sense, one can understand Roni Horn’s concerns. "I think it’s more appropriate to express my longing for earth through the concept of animal migration rather than the idea that human travel." Water Double (2013~15), a work reproducing the glaciers the artist experienced in Iceland, combining the thrilling joy of his experience, with the sense of grief that the artist will not feel the same way about it even if he visits it again. And this work, which at a surface level reflects the artist’s longing for Iceland, also sheds light on the artist’s despair of absence at a deeper level. By releasing a work, the artist exhausts himself of the idea that will make him an artist so it cannot be used again. Once he makes something into an art work, the something that will be the subject of another work again may never come. The artist doesn’t have anything to identify himself, not even a name card or a certificate of income. The only thing that remains after the exhibition until his new works are presented is the proof of the past (that he was an artist). The artist always eliminates himself through the presentation of his work. A new work always appears as the last work, eternally with the resolution to disappear.

And if a new work appears as the last work for an artist, the new art will emerge from the ruins of the end of art. That's why the end of art is declared as profusely as its invigoration.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that nothing might happen after this moment in time; It may be the last in terms of time, but in order, it is in the first place. That must have been the kind of anxiety that Lee had to face as he retraced Roni Hon's time. If Water Double proves absence as a preserved state of experience and inspiration, Roni who went to Daiso proves absence as a preserved state of art itself. In other words, Roni who went to Daiso is preceded by the tragic idea that "art" itself may never exist again. While Roni Horn preserves experiences and inspirations in clear glass, Lee has preserved, in the tapes, the art that will no longer exist. Even if someone does not start a new work, it has already been loved enough and there are already works that will be loved in the future. New subjects do not emerge to the point where new attempts become meaningless, and only the same subject is repeated in new ways. In that case, then all the ends so far are right. Ironically, however, the work reaches a point of zero as a result. The vacant lot where the new building will be built, and the ruins where everything has collapsed, are not differentiated in that both are empty. It’s the same with the time when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begins, or a point where there is no space or time so to speak. At the same time, it’s also a point that implies all places and times. If one is ready to be able to accept this emptiness, the ruin implies the possibility of all forms and colors being born from it.

 

3

The sea seen from the beach while walking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sea seen while floating in the middle of it. The white butterfly is not afraid of the sea, because no one has taught it how deep the water is. When the butterfly nears the surface of the water thinking that it’s a radish field and gets its wings wet, it will have come to know the sea and no longer go near it. The realization that flowers do not bloom in the sea and that the ocean is harsh on butterfly wings will make it abandon its dreams about the sea. The wise one’s saying that “the one who never dreamt of a revolution in its youth is one without a heart, but the one who doesn’t change even after having passed it is one without a mind” resonates here for a long time. Why does wisdom take away first what’s most radical? Why does wisdom increase the number of things we shouldn't do rather than what we should do? Since I have unavoidably become a little wiser, I open up Keynes instead of Marx. However, in the beginning, Keynes talks about the “euthanasia of the rentier.” I will not be fooled any longer if there was resolution at the beginning of a position even if it’s been pushed out quite far. Eternal love and revolution are not in the future, but yesterday, so I can do so as I already have them (or pretend to). So I'm going to start without waiting. I will try to counter the uttering to myself, in a form that claims “there is too much freedom.” I will habitually act aggressively. I will be filled with contempt. I won't be afraid of violence. I murmur quietly again. Rentiers should definitely be euthanized.

“Hey, have I changed a lot?” This question is always in my mind, but it’s something I could never ask. And my cowardice and smallness are nothing new. I always groaned more about my short pain than the long tragedy of others, always plotting on running away and focusing more on uncomfortable position than desperate confession. Then at one point, I said “I’ll quit now,” and you asked if I have ever started exercising, and what I think exercise is. In a life that is always nearing completion, EVERGREEN rewinds everything to the beginning, regardless of the wisdom and achievements time has accumulated. Through the exhibition, we are demanded of the courage to reveal that we are an existence that can go anywhere, be anything, and say anything. Lee wrote the following in a collection of letters written with Han Sung-woo: "Let's finish our conversation incomplete like our works….Let’s first wrap it up, with my drawing incomplete in drawn and erased state, and with your painting coated over and over again to indefiniteness. And then after some time, let’s carry on our conversation. That would be fun." If we stay in a state of being erased and indeterminate, we will be able to soak up the joy in knowing that the dream is still there because we haven’t even started, rather than worrying about losing what we have accumulated and achieved. Even though my beginnings eat up my life like sea crabs, I must enjoy the joy of the dark days of going out to the beach. Friend, I swear to you: it’ll be white somehow.

 

References

Kim, Ki-rim. “Sea and Butterfly”, 女性, 1939

Pasternak, Boris. “Wet Paint”, The Stones on the Ground, Jeongwoosa, 1996

Shin, Seok-jeong. “Flower Bush”, Shin Seok-jeong Poetry, zmanzbooks, 2013

Lee, Seong-bok. Your Pain can’t even Turn a Single Leaf Green, Munhakdongne Publishing Group, 2014

Lee, Hyunsoo & Han, Seong-woo, Conversation of Fools, Fedora Press, 2019.

Lyotard, Jean-François. “Sublime and the Avant Garde”, The End of Intellectuals, Moonye Publishing Co., 1993.

Ranciere, Jacques. Translated by Park Ki-soon, Aisthesis, 2019.

Jin, Eun-young. Atopos of Literature, Green Bee Books, 2014.

끝없이 새로 그려지는

 

장혜정 (독립 기획자)

 

허공에 반짝이는 리본이 하염없이 곡선을 그린다. 서큘레이터에 묶인 채 바람에 따라 나풀거리는 리본은, 상승이거나 하강이 아닌 채로 그 자리에서 쉼 없이 움직인다. 그 리본의 시작과 끝을 따라 시선을 이동하다 보면 어느새 나는 더 긴 곡선을 리본 없이 그려보게 된다. 농구링 위에 얹힌 공들은 그것이 던져졌을 때 만든 포물선을, 떨어지면서 그릴 직선을 그리고 또다시 튀어 오르며 만들 예측할 수 없는 방향의 선들을 상상하게 한다. 그 움직임에는 결코 예측할 수 있는 시작이 없기 때문에 끝이 없다. 어쩌면 결코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일지 모른다. 스스로의 작업을 ‘드로잉’이라고 부르는 이현수의 작업은 설치, 회화, 글, 입체, 퍼포먼스 등 매번 다른 매체와 방식으로 제시된다. 그의 작업은 하나의 장르나 매체, 조형성으로 매끈하게 귀결될 수는 없으나, ‘유연한 상태로 계속해서 다음을 상상하게’ 만드는 그 어디쯤의 위치한다.

 

그러니 그의 작업-드로잉은 태도에 더 가깝다. 그의 태도는 때로는 종이 위에 그려진 선의 모음으로, 견고함은 없이 멋대로 뭉쳐진 유토(油土) 덩어리로, 전시장에 뿌려져 사람들과 공기의 이동에 따라 자리를 바꾸는 색종이 조각(confetti)으로, 빛이 없으면 사라져 버릴 연약한 그림자로 혹은 빛 자체로, 그리고 다시는 같을 수 없는 콘트라베이스의 즉흥 연주로 전시장에 놓였다. 그 모든 것은 동등하게 유효하고 동등하게 무효한 무게를 지니며 멈춤없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흐름 속에 있었다. 다양한 단수들이 미완이지만 완성이 필요 없는 상태, 미완인 채로 완성인 상태로 나열되는 것이다. 이 단수들의 유기적인 배열을 나는 어떻게 흐트러뜨리지 않고 글로 이야기할 수 있을까.

 

2011년 출간된 『드로잉에서의 즐거움』[1]에서 장 뤽 낭시(Jean-Luc Nancy)는 16개의 챕터마다 드로잉에 대한 자신의 짧은 글과 함께 다른 철학가나 예술가, 비평가들의 인용구를 자유롭게 열거하는 ‘스케치북(Sketchbook)’이라는 부분을 삽입했다. 이 인용구들은 낭시가 글이 쓰면서 참고하거나 떠올렸거나 혹은 불쑥 튀어나온 말들의 위계 없고 불연속적인 나열이며, 드로잉에 대한 질문이었다. 결국 이것은 드로잉에 대한 그의 사유를 보여주는 제스처였던 것이다. 나는 낭시가 드로잉을 이야기하면서 ‘스케치북’을 삽입한 방식이 내가 이현수의 작업에 대한 생각들을 서술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방식이라 생각했다. 낭시를 모방하여, 이현수의 작업을 살펴보다 떠오르고 사라지고 다시 솟아오르는 나의 단상들을 위계 없이 불연속적으로 적어 보고자 한다.

 

Sketchbook 1

낱개의 여러 감각과 감정들이 켜켜이 쌓여 뭉쳐지고 흩어지고, 새로 만났다가 또 벌어지는 정서, 이 복합적인 정서가 어쩌면 이현수의 일관된 정서일지 모르겠다. 작은 감각과 감정의 결들이 쌓여 형성되는 정서는 매 순간 예측불허의 형태를 가지지만 모든 것의 사이에 언제나 은밀하게 존재한다. 이현수에 의해 공간 안에 펼쳐져 놓인 각각의 요소들은 독립적으로 홀로 있을 때보다 함께 모여 있을 때, 거울 놀이하듯 서로 주고받으며 갱신되고 유동적이며 경쾌한 정서가 만들어진다.

 

Sketchbook 2

“홍수 방지용 제방에 서서 흐르는 물살을 바라보노라면, 아무리 위험해도 정체된 것보다는 움직이는 편이 훨씬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게는 지속성보다는 역동성이 한결 가치 있게 느껴졌다. 정지 상태에 머물러 있으면 부패와 타락에 이르고, 결국 한 줌의 재로 사라질 수밖에 없지만, 끊임없이 움직인다면 어쩌면 영원히 지속될 수 있지 않을까. 그때부터 였을 것이다, 예전의 안온한 풍경 – 공원, 채소들을 초라하게 줄지어 심어 놓은 온실, 그리고 돌을 던져 사방치기 놀이를 하던 콘크리트 인도가 있는 바의 풍경 속으로 강이 마치 바늘처럼 선명하게 꿰뚫고 들어온 것은.”[2]

- 『방랑자들』 올가 토카르추크

 

이현수의 태도를 곱씹으며 나는 강물을 떠올렸는데, 아마도 천고 높은 전시장의 허공을 가르는 리본이 그리던 곡선(<너클볼>(2019))을 보았을 때가 처음으로 강물을 생각했던 때였던 것 같다.      

 

Sketchbook 3

상태로서의 드로잉 이외에 이현수의 작업을 드로잉으로 볼 수 있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는 ‘선(line)’일 수 있다. 드로잉의 어원인 디세뇨(Disegno)는 색을 사용하지 않고 ‘선’만을 이용하여 몸을 ‘움직이는 행위’를 의미한다. 물론 나는 드로잉을 선묘로 국한하는 것에 반대하지만, ‘선’과 ‘움직이는 행위’는 이현수의 작업에서 중요하게 자리한다. 그가 전시장에서 제시하는 선은 대부분 그 자체로써 완결이라기보다는 그 선들 사이를 오고 가는 또 다른 움직임을 상상하는 가이드와 같다. 빛으로 그려져 사람들의 오고 가는 움직임으로 쉽게 끊어지고 다시 등장하는 선(<반짝이는 드로잉>(2018)), 헬륨 가스로 가득 찬 풍선의 윤곽선이 시간이 지나면서 변형되어가는 과정(<부풀린 선>(2018)), 바로 이전의 움직임을 잔상으로 남기며 바람에 나부끼는 선(<너클볼>(2019)) 그리고 꽤 완고하게 전시장 바닥에 그어진 선(<Playful Ground>(2019))은 농구라는 역동성을 가진 장르와 연결되며 운동감을 내포한다. 따라서 그가 그리는 선은 감각의 열림을 가능하게 하고, 무겁고 가벼운 운동의 감각들이 교환되는 순간들을 잇고 있다.

 

Sketchbook 4

“여기 실린 글들을 쓰기 전까지, 나는 이 글들이 뒷받침해 줄 생각들을 대부분 믿지 않았다. 일단 쓰고 나자. 나는 내가 쓴 것을 믿게 됐다. 그다음에는 그 글들에 담긴 것과 똑같은 생각들을 다시 믿지 않게 됐다. 그러나 이는 이 글들에 담긴 생각들 중 옳은 생각들을 키워주고 통합해준, 좀 더 새로운 관점에서 볼 때 그런 것이다.”

– 수전 손택, 『해석에 반대한다』[3]

 

쓰기 전에 모든 것을 이해하는 사람이 있을까. 그리고 작업이 완성되기 전에 그 안에 담긴 모든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예술가가 있을까. 누군가 그럴 수 있다면, 그에게 작업이란 복기하는 지루한 과정이 되어버릴 것이다. 우리는 종종 어떤 명확한 목적이나 목표 없이 서성거리다 뜻하지 않은 의미를 발견한다. 알 수 없는 것을 풀어내고 이해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것처럼, 예술가는 알 수 없지만 우선 손을 움직이며 잡히지 않는 생각과 감정을 움켜쥐려 애쓴다. 이현수의 최근 파스텔 드로잉(<뽈이에게> 드로잉 시리즈(2019), <아버지> 드로잉 시리즈(2019) 등)은 알기 위한 반복의 행위로 보인다. 이현수는 예기치 않게 떠나보내야 했던 반려견을 잊기 위해, 기억하기 위해, 또는 스스로를 치유하기 위해 멈추지 않고 손을 움직였다. 그렇게 수개월 동안 그려진 수십 장의 작은 그림들은 종이 박스 안에 그저 쌓이고 쌓이다 문득 보여줄 수 있다고 깨달은 어느 날, 전시장으로 들어왔다.

 

Sketchbook 5

같은 그림을 계속 그린다. 다른 색으로, 그래도 같은 대상을. 여러 번 그리고 또 그린다.  이러한 반복 속에서 결국 획득되는 것은 화면 위의 이미지 보다 그린다는 작가의 행위이다.

레이어가 쌓여가면서 이미지가 변화하는 과정을 직접 목격하는 체험은 스스로를 위로하고 혹은 확인하는 경험일 수 있다. 그러니 이것은 대상을 이해하는 동시에 대상에 향한 자신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다.

 

Sketchbook 6

반복은 어떠한 리듬을 만들어낸다. 그 리듬은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다 어느 순간 익숙해지면 움직임의 에너지가 사그라든다. 이현수는 익숙해져 버리려는 리듬에 다시 변속을 가한다. 매체의 전환이나 재료의 전환, 또는 전시의 형식을 전환하는 등의 시도로 리듬을 어긋나게 하거나 느리게, 빠르게 하며 각성의 모멘텀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가 만들어내는 변속의 순간은 완강함을 흐트러트리고 유연하게 사이를 비집고 가장 연약한 상태를 나란히 두며, 완결되지 않은 현재의 상태로 끝없이 갱신시킨다.

 

[1] The Pleasure in Drawing by Jean-Luc Nancy, translated by Philip Armstrong, Fordham University Press, 2011. 『드로잉에서의 즐거움』은 2007 년 리옹 미술관에서 장 뤽 낭시가 기획한 전시를 위해 쓰여졌던 글이 책으로 출간된 것이다.

 

[2] 『방랑자들』 올가 토카르추크, 최성은 번역, 민음사, 2019, p15.

[3] 수전 손택,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20(1961), p 15.

review: public art magazine May

​퍼블릭 아트 5월호

우리가 잊어가는, 잃어가는 드로잉에 관하여
<PLAYING DRAWING: after drawing>전 


4.18-5.8 탈영역 우정국

익숙해서 ‘안다’고 생각하는 말이 있다. 이현수는 자신의 개인전 <PLAYING DRAWING>에서 ‘드로잉’도 그런 말 중 하나인 것은 아닌지 되묻는다. 드로잉 전시에서는 감각적인 선으로 완성한 그림이 익숙하다. 이현수의 전시는 낯익은 드로잉 대신 낯선 드로잉을 다룬다. 전시장에서야 낯선 드로잉이지 가까이서 찾을 수 있는 드로잉이다. 작가가 작업을 구상하거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드로잉, 어린아이가 색연필이나 크레용을 꼭 쥐고 경이로운 세계를 놀며 그린 드로잉(PLAYING DRAWING)이 이현수의 드로잉이다.
일상의 드로잉은 식상한 상식이지만, ‘말랑말랑하게 변화하는 상태’의 드로잉을 ‘전시’하려는 시도는 신선하다. ‘유연한 상태’가 드로잉의 본질일지라도 ‘상태를 나타내는 드로잉’을 시각화하기란 까다로운 일이다. 작가는 종이에 펜이던 작업 도구를 확장한다. 인쇄할 때 흔적이 보이지 않는 연필(Non-Photo Blue Pencil)이나, 포장지에 ‘절대 굳지 않음(Never Harden)’이라고 적혀있는 유토와 같이 스케치나 구상 단계에서 사용하는 유연한 재료를 작업의 부분에 활용한다.
작가는 여기서 더 나아간다. 드로잉의 유연한 매체적 속성을 본격적으로 시각화하고자, 한 전시를 두 공간에서 연다. 서교예술실험센터의 <PLAYING DRAWING: before drawing>은 ‘머릿속에 둥둥 떠다니는 중인 생각들’을 소개하는 자리다. 이현수는 다양한 재료를 갖고 놀고 실험하며, 아이디어의 여정을 포스트잇에 옮겨 벽면에 잇는다. <아이디어 스케치> 작업은 책상과 벽면을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채운다. <아이디어 스케치>에서 이전 드로잉은 이후 드로잉을 겹치고 포갠다.
서교예술실험센터의 ‘이전 드로잉(before drawing)’은 탈영역우정국 <PLAYING DRAWING: after drawing>의 ‘이후 드로잉(after drawing)’에 다다른다. 두 공간은 원인과 결과로 논리적으로 대응하는 사이가 아니라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는 사이다. 드로잉에 대한 평면의 관념이 공간의 관념으로 옮겨갔지만, 아직 유연한 드로잉엔 이르지 못했다. 이현수가 꿈꾸는 드로잉은 공간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고 확장하는 드로잉이다. 작가는 매체를 빛과 중력으로 한 번 더 확장한다. 탈영역 우정국 지하에 놓인 <반짝이는 드로잉>은 피규어 거치대 위에서 프리즘이 회전하는 작업이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각기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스펙트럼을 형성하며 지하 공간을 드로잉한다. 움직이는 빛과 스펙트럼은 공간 전체를 변주하고 확장한다.
놀이하는(playing) 드로잉이 연주하는(playing) 드로잉으로 변하는 순간, 미술가의 드로잉 관념은 음악가의 드로잉 관념과 포개지며 더 넓게 뻗어간다. <독무대>는 연주자 성열원이 핀 조명 아래에서 더블베이스를 연주하는 공연이다. 빛이 비추는 원형 바닥에 맞춰 폭죽 잔해를 쓸어내고, 연주자는 악기 소리에 집중한 연주를 시작한다. 이후 재즈곡에서 더블베이스가 맡은 부분만 들려주다가, 모든 파트를 한 악기로 연주하고, 공연하는 순간 떠오른 음악을 즉흥적으로 표현한다. 완성 없는 막연한 순간을 경험하도록 하는 더블베이스의 선율은 이현수의 드로잉을 빛나게 한다.
전시장 벽면은 텅 비어있지만, 공간은 드로잉으로 가득 차 있다. 각각의 드로잉들은 어떤 순간만 살짝 전한다. 작가가 이번 전시에서 선사하려는 것은 “굳어지지 않은 상태로 무엇이 될지 모르는 무수한 가능성”의 순간이다. 그 순간을 상상하니 말랑말랑하게 반짝이는 어린아이의 드로잉이 떠오른다. 아이의 드로잉이 찬란한 이유는 우리가 가질 수 없는 것을 아이가 품고 있기 때문이 아니다. 어른에게서 사라져 간 드로잉을 아이가 품고 있기 때문이다. 이현수 작가의 <PLAYING DRAWING>은 우리가 잊어가는, 잃어가는 드로잉을 환기하며 드로잉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생산한다. 그나저나 우리는 생각이 떠오를 때, 여전히 본능적으로 손을 움직이니 생각할수록 이 전시를 봐야 할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  정희영 독립기획자

Based on the reference to the new possibilities of drawing today, I refer to dimensions, investigating how a drawing can cross over to inhabit 3 dimensional space.

The most important point of my drawing is conversation with particular environment-such sound, location, and atmosphere, among other factors.

I use the line to capture and absorb a present phenomenon, seeking to channel time and space into the realm of drawing.

 

Since I started to assume Drawing as a flexible condition, anything could be drawing. 

Playing Drawing series ask questions about what drawing is. This project series suggest expanded aspects of drawing, is not limited to specific mediums.

bottom of page